청년도약계좌는 11개 은행에서 실시하고 있다.
오늘(6/14일기준)은 11개 취급은행에 대해서 각 은행별 이자를 비교해 보도록 하겠다.
가입 조건, 가입기간, 가입방법은 아래 글에서 상세히 정리 해 놓았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항상 이런 국가에서 나오는 혜택의 경우 지속적으로 받을수 있다는 공고가 있더라도, 준비되어있는 자금이
바닥나게 되면, 언제고 신청기간이 변할수 있기에, 시작하는 시점에서 빠르게 가입을 하는게 좋을듯 하다.
청년도약계좌 금리
청년도약계좌 상품은 가입후 3년은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되며, 변동금리의 경우 해당시점의 기준금리와 고정금리 기간 중 적용되었던 가산금리를 합하여 설정될 예정이다. 총급여 기준 개인소득이 2,400만원 이하**인 경우 소득+우대금리(저소득층 우대금리)가 부여된다.
* 변동금리 기간 중 적용되는 변동주기 등의 내용은 취급은행간 추후 협의를 거쳐 확정
**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기준 개인소득이 1,600만원 이하
11개 취급은행은 오늘(6.14일) 청년도약계좌 최종 금리를 전국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 공시 하였다.
현재 기준의 금리는 아래표를 참고 하시기 바라며, 변경 될수 있기에 아래 은행연합회 포털 바로가기를 통해서
실시간 금리에 대한 비교를 해볼수 있을것이다.
청년도약계좌 이율 (은행별)
금일 (6/17일) 기준으로 청년도약계좌를 실행하는 11개 은행에 대한 은행별 이율에 대해서 정리 하고자 한다.
거의 유사한 금리를 제공하고 있으나, 은행별 약간의 차이가 있기에 각자 좋은 혜택을 확인하고 가입하도록 하자
가입 기간이 긴 만큼 약간의 이율차이에도 나중에 받는 금액의 차이가 발생할수 있다.
전국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 나와있는 기준으로는 KB국민은행이 가장 좋은 이율을 제공하고 있는듯하다.
청년도약계좌 혜택 정리
자 그럼 이렇게 청년도약계좌를 통해서 저축을 진행한다면, 과연 얼마의 혜택을 받을수 있을까?
내용을 읽어보아도 사실 약간 복잡한 내용이기에 쉽게 이해가 가지 않는다.
아래 예시를 통해서 간단히 설명하고자 한다.
정확한 예측이 어려운 향후 기준금리는 5년간 변동이 없다고 가정할 때,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한 청년(5년간 개인소득(총급여 기준) 2,400만원 이하)은 납입금액에 대한 은행 이자 외에도 정부기여금 및 관련 이자, 이자소득 비과세로 인해 연 7.68~8.86%**의 일반적금(과세상품)에 가입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취급은행 중 6개 일반은행에서 가입한 경우
** 5년간 개인소득(총급여 기준) 3,600만원 이하 : 연 7.01~8.19%
5년간 개인소득(총급여 기준) 4,800만원 이하 : 연 6.94~8.12%
5년간 개인소득(총급여 기준) 6,000만원 이하 : 연 6.86~8.05%
이상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금리,은행별 이율, 혜택에 대한 정리였습니다.
가입 조건에 해당되는분들은 가입조건을 확인하고 빠르게 가입해서 좋은 혜택을 누리시도록 하세요
최근은행에서 제공하고 있는 이율대비해서는 확실히 좋은 혜택을 제공하고 있는듯합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년 하반기 경기도 대학생 학자금 대출이자 지원 (0) | 2023.07.03 |
---|---|
반도체 관련주 HPSP 기업개요, 주가 분석 (0) | 2023.06.18 |
청년도약계좌 신청, 혜택, 가입 조건, 신청 기간 (0) | 2023.06.17 |
SOL 반도체 소부장 ETF 개요 및 추세 (0) | 2023.06.17 |
키움 우리아이 첫 계좌개설 40달러 받기 (0) | 2023.06.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