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소득자는 유리지갑이라고 하는 이유는 엄청난 세금, 건강보험들 때문인데 사실 자기 연봉별 실수령액에 대해서 자세히 아는 사람이 없을정도로 계산방법은 복잡하기에, 연봉별 실수령액에 대해서 알아보고, 자신이 회사에 들어가면 매달
받을수 있는 금액이 얼마인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서 자신의 저축, 재테크 투자등의 계획을 세워보도록 하자.
이글을 쓰면서 내 월급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볼려고 회사 사이트를 열었다가, 어머나 어떻게 이렇게 많은 금액이 나라에 내는지 보고 암담한 생각이 들었다. 이러니 나에게 들어오는 돈이 이렇게 적은거 아닌가 싶다.
연봉이란?
연봉이란, 회사 근로자들이 회사와 1년에 받기로한 월급의 총액을 이야기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대부분이 연봉제 이기에 이렇게 정해진 금액 자체를 결정해 놓고 수령을 하게 되어 있다. 요즘 여성분들이 원하는 남편감으로 월급이 최소한 500만원 이상이 되어야 한다고 하면 실제로 연봉은 7,500만원 이상이 되어야 한다. 대기업이라고 해도 성과급이 없이는 30대 이하가 받기에는 큰 금액이라고 생각된다.
연봉별 실수령액 계산 방법
월급을 받아보면 알겠지만, 정말 나라에서 가져가는 금액이 여러가지이며, 어마어마하다. 항목으로 따지자면, 크게는 4가지로 국민연금,건강보험,고용보험,근로소득세이다. 각각의 항목마다 자신의 연봉에 따라 가져가는 세율이 다르기 때문에
사실 정확한 실수령액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항목별로 실제 차감되는 금액을 알아야된다. 하지만 각각 항목에 따라 실제 차감되는 율을 따져서 계산하기에는 너무 복잡하기에 연봉별 실수령계산기를 통해서 쉽게 확인 해보도록 하자
연봉별 실수령액
간단히 계산기를 통해서 연봉별 실수령액을 직접 계산 해보도록 하자. 우선 사이트에서 간단하게 연봉 및 부양가족, 그리고 20세 이하 자녀수를 넣게 되면 간단하게 계산을 해준다. 나의 기준으로 부양가족 4명, 20세 이하 자녀수 2명을 넣고 계산해보면 연봉이 8천만원인 경우는 실수령액이 564만원, 9천만원인 경우는 629만원, 1억인 경우는 689만원 실수령을 할수 있다. 물론 연봉을 계산할때는 성과급등을 제외하고 넣은 금액이기에 받은 성과급에 따라 건강보험등이 달라지기에 실제 받는 수령금액과는 차이가 발생 할수 있으니 이를 감안하시길 바란다.
그럼 9000만원을 연봉을 산정하고 입력을 사이트에 해보면 아래와 같이 자동으로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근로소득세를 계산해 준다. 최근에 이야기 되는 국민연금이나 건강보험의 요율이 올라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향후 연봉이 상승한다고 하더라도 실제 수령액은 감소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된다.
실제 자기가 받는 금액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만이 계획적인 소비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서 저축 및 재테크(투자)도 가능하기에 먼저 자신의 실제 수령액을 알아 보고 자신만의 계획을 만들어 보도록 하자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시안 게임 메달 연금액 (0) | 2023.10.03 |
---|---|
배당금 높은 주식 확인 및 추천 (0) | 2023.10.01 |
다원시스 주가 전망 및 분석 (0) | 2023.09.25 |
레인보우로보틱스 주가 전망 및 분석 (0) | 2023.09.25 |
청년 내일저축계좌 자격 조건 및 신청방법 (0) | 2023.09.25 |
댓글